윤 대통령 “국민소통·현장소통·당정소통 강화하라”
![윤석열 대통령이 16일 오전 서울 용산구 대통령실 청사 앞 어린이정원에서 열린 제63차 수석비서관회의를 주재하고 있다. [사진 대통령실]](https://pds.joongang.co.kr/news/component/htmlphoto_mmdata/202310/17/0809adcc-ca9b-488b-9e03-fa55e8e86620.jpg)
윤석열 대통령이 16일 오전 서울 용산구 대통령실 청사 앞 어린이정원에서 열린 제63차 수석비서관회의를 주재하고 있다. [사진 대통령실]
“총알도 없고,윤대통령국민소통현장소통당정소통강화하라 손발도 묶인 상황이다.” 10·11 서울 강서구청장 보궐선거 패배 후 국정 쇄신 요구가 빗발치는 상황에서 대통령실 관계자가 16일 한 말이다. 59조원으로 추산되는 역대 최대 세수 결손으로 재정 여력이 없고, 거대 야당의 반대로 민생법안 통과도 어려운 현실을 이렇게 빗댔다.
윤석열 대통령이 이날 소통을 강조한 것도 이런 현실적 제약과 맞물린 것으로 풀이된다. 윤 대통령은 수석비서관회의를 주재하며 “국민 소통, 현장 소통, 당정 소통을 더 강화해 달라”고 주문했다. “차분하고 지혜롭게 변화를 추진해 나가는 것이 중요하다”(13일)고 밝힌 이후 나온 두 번째 공개 메시지다. 윤 대통령은 아울러 “경제 활성화를 위한 현장 행보를 해야 한다”면서 “민생 타운홀 미팅 개최”를 언급한 것으로 전해졌다. 대통령실 관계자는 “국민이 몸으로 느낄 수 있도록 윤 대통령이 민생 현장에서 국민들의 고충을 직접 듣고 대응책도 점검하는 차원에서 분야별 타운홀 미팅을 개최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고 말했다.
선거 패배 뒤 대통령실 참모들은 김대기 비서실장 주재로 연일 국정 쇄신 방안을 두고 난상토론을 벌여왔다. 특히 정부가 국정과제를 추진할 때마다 “국민에게 ‘왜’라는 설명을 제대로 하지 않았다”는 강한 문제 제기가 있었다고 한다. 한 참모는 “정치는 국민과 공감을 해야 하는 건데, 돌이켜보니 설득만 하고 있었다”는 아쉬움도 전했다. 이런 과정에서 윤 대통령의 불통 이미지가 강화됐다는 게 참모들의 진단이다. 당정 소통 강화와 관련해 대통령실 관계자는 “정책 당정을 보다 활성화하겠다”며 “당은 늘 현장에서 유권자를 대하기 때문에 당정 소통 강화는 국민과의 소통을 강화하는 것”이라고 말했다.
-
SC Bank Korea CEO nominated for fourth term[Hello Hangeul] The making of Korean language textbooks featuring BTSSM founder Lee SooSeoul shares tumble to 5Beef prices have soared 100Benois de la Danse winner Kang Mi여당, 총선변수에 고심…“쇄신한 민주당과 대결 준비해야”Milk prices to go up in Oct.[Contribution] Why hope matters in climate crisisPolitical strife may delay Korea’s launch of new space agency
下一篇:[Our Museums] Discover wisdom of hanok at Eunpyeong History Hanok Museum
- ·Hyundai Rotem to showcase new ground weapons systems at Seoul expo
- ·Jakarta lights up in pink with SMTown Live 2023
- ·러 무기 만져보고 타보고...김정은 '북·러 합작' 도발 메뉴 내놓나
- ·'코로나 봉쇄' 북한, 국경 열었다…3년8개월 만에 외국인 입국
- ·Yoon lauds rapid growth of Korean defense industry
- ·Uzbekistan, Korea boost customs cooperation
- ·Benois de la Danse winner Kang Mi
- ·Milk prices to go up in Oct.
- ·Gimbap and hanja cramming: Life of Korean Studies students in Paris
- ·Uzbekistan, Korea boost customs cooperation
- ·[Herald Interview] Mimiirose hopes to make a name for itself
- ·Breadwinners in their 60s or above double in 9 years
- ·Hamas weapons, tactics resemble those of NK: JCS
- ·Benois de la Danse winner Kang Mi
- ·[Herald Interview] Kim Jee
- ·러 무기 만져보고 타보고...김정은 '북·러 합작' 도발 메뉴 내놓나
- ·北, 日의 장거리미사일 조기 배치 추진에 “전쟁국가 일본 실체”
- ·Reconstructed Dondeokjeon hall in Deoksu Palace to open to public
- ·[Korea Beyond Korea] ‘Korea should support Korean history studies, research abroad’
- ·[Herald Interview] As a wanderer, Yoshitomo Nara does not confine himself to art
- ·Welcome Daehakro Festival lights up Seoul's stage hub
- ·[Today’s K
- ·Breadwinners in their 60s or above double in 9 years
- ·Rebellions' AI chip to undergo IBM quality testing
- ·163 S. Koreans arrive home from Israel on military aircraft
- ·여당, 총선변수에 고심…“쇄신한 민주당과 대결 준비해야”
- ·Major Korean firms fare worse than US counterparts in H1
- ·[Herald Interview] Song Joong
- ·Uzbekistan, Korea boost customs cooperation
- ·Yoon's approval rating edges up after 6
- ·N. Korea scheduled to hold key parliamentary meeting following Kim
- ·[사진] 용산 팔도장터 찾아 떡메치기
- ·Reconstructed Dondeokjeon hall in Deoksu Palace to open to public
- ·김성원 여의도연구원장 "공천장사 지라시, 허위사실 유포로 고소"
- ·Jakarta lights up in pink with SMTown Live 2023
- ·Rebellions' AI chip to undergo IBM quality testing
- ·카메라 찍힌 김여정 960만원 '디올 백'…그 자체가 北인권 참상
- ·Beef prices have soared 100
- ·[Herald Interview] As a wanderer, Yoshitomo Nara does not confine himself to art
- ·Kakao completes its first own data center
- ·Yoon's approval rating edges up after 6
- ·[Herald Interview] Netflix's ‘Devil’s Plan’ expands realm of survival game shows
- ·Milk prices to go up in Oct.